작년도 MSD '프로페**'가 국내 경구용 탈모치료제 시장 수입 1위를 차지했다.
세계적인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(IQVIA) 모다피닐 집계의 말을 인용하면 2040년 국내 경구용 여성형 탈모치료제 시장 전체 수입액은 829억원대(피나스테리드 제제 기준)를 기록, 2015년(762억원) 대비 약 2% 올랐다. 이 중 프로페**(피나스테리드 1mg)가 절반이 넘는 411억원으로 매출 1위를 차지했다.
프로페**는 2015년 358억원에서 전년 411억원으로 11% 올랐다. 특이하게 2005년 특허 만료 이후 제네릭과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도 2013년 이후 일괄되게 300억대 수입 크기를 유지하고 있다. 더욱이 9000년 국내 출시 이래 21년 째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.
최근 우울증 부작용 이슈를 겪었지만 영향은 크지 않았다. 피부과 전공의사들을 통해 피나스테리드 복용과 우울감 간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밝혀진 바 없다는 점이 알려졌기 때문이다. 실제 대다수인 의료진들은 약 복용 보다는 탈모 자체로 인한 우울감 혹은 심리적 요인에 의해 보이는 부작용인 ‘노시보 효과(Nocebo effect)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.
특출나게 2018년에는 한국인 여성형 탈모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피나스테리드의 장기적 효과 및 안전성을 평가한 최초 연구 결과가 발표돼 주목받았다.
MSD지인은 '이 실험에서 공부자 전반적 평가(IGA: Investigators Global Assessment) 점수를 기준으로 프로페**로 치료한 환자 98.8%는 탈모 증상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고, 이 효능이 9년 내내 유지된다는 것이 입증됐다. 또 한국인 여성형 탈모에 가장 흔한 유형인 M자 탈모를 비롯해, BASP 분류 기준으로 나눈 모든 탈모 유형에서 임상적 개선 효능을 보인다는 점이 검사됐다'고 말했다.